Dungeons and Dragons
~ Shadow over Mystara ~
<게임공략 Part 1 - 기본지식편>
편집 - 赤猫 (http://blog.naver.com/psychocanon)
개요
D&D2는 캡콤사의 ACT RPG(액션롤플레잉)로 TRPG의 원조격인 D&D의 룰을 기초로 만들어져 있다.
캡콤의 게임답게 액션이 넘치며 RPG답게 마법의 중요성이 돋보이는 게임이다.
전작의 쉬운 난이도를 의식한 듯 상당히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며
현재까지도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이며 높은 난이도에도 불구하고 인기가 있는 것은
화끈한 액션과 화려한 그래픽, 강력한 위력의 마법과 실제 TRPG처럼 동료간의 팀웍을 중요시하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기본기술 일람
A = 어택, B = 점프 C = 아이템&마법사용, D = 아이템&마법 선택
대쉬 : →→
가드 : A누른 후 ←
대쉬 공격기 : ↓↘ + A
대공 공격기 : ↓↑ + A
슬라이딩 : ↓↘ +B
앉기 : ↓+B
회피기 : A+B
백점프,피하기 : 빠르게 BB
백스텝 : 적의 뒤에서 →←+A
일격 : → + A
가드캔슬 공격 : 가드직후 → + A
높이 점프 : ↑ + B(드워프는 ↖,↗ 방향으로도 높이뛰기가 된다)
강탈 : 대쉬 후 적과 박치기
캐릭터당 특수공격or행동 : 아이템란 을 NOTHING 으로 놓은 후 C
아이템,마법 바꾸기 : D를 누른 후 B로 아이템, 마법란 바꾸기, A와 C로 선택
**참고사항
1.위의 기술은 캐릭터가 오른쪽을 보고 있을 때가 기준이 된다.
2.대쉬공격기와 대쉬는 관계없는 기술이다.
3.매직유저는 대쉬공격기와 대공 공격기,회피기가 없다.
4.백스탭,강탈은 시프만의 기술이다.
5.클레릭은 회피기가 없고 똑같은 커맨드로 '턴언데드'를 사용한다.
6.방패가 없는 캐릭터는 가드가 불가능하다.
7.가드 캔슬 후 기술이 끝날 때 까지는 무적상태다.
8.캐릭터당 특수공격은 연속공격 도중 A버튼을 누르고 있어도 나간다.
잡언
SOM을 처음하는 사람은 마법과 통상기 일체의 연속기 성립법칙을 먼저 이해해야한다.
이 게임의 가장 큰 시스템적 특징중 하나는 데미지를 받는 경직시간(그러니까 히트백이라고 할까)
중에는 같은 공격이 히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파이어볼로 상대를 다운시킨 뒤에는 다운공격으로 파이어볼이 히트하지 않는다는 것
등이 있다. (물론 전체공격 마법은 예외)
통상공격 A만 연타해도 연속기가 성립하는 이유는 바로 A를 연타했을 때 나오는 공격이
같은 공격이 아니기 때문이다. 대쉬 필살기를 연속으로 사용해도 두번째에는 히트하지 않는데
중간에 A를 끼운 뒤 거기서 대쉬필살기를 쓰면 연속으로 히트한다.
때문에 A-대쉬필살기-A-대쉬필살기...의 무한 루프도 이론상 가능하다.
이 법칙은 마법에도 적용이 된다. (전체공격마법과 라이트닝 볼트는 제외)
보스들 중에는 이 법칙을 기억하지 않으면 상당히 어려운 적들도 있으니 반드시 숙지하길 바란다.
그리고 시프와 드워프는 대쉬필살기만 사용해도 계속 연속기로 성립이 되는데
그 이유는 그들의 대쉬필살기가 다단히트기이기 때문이다.
기술은 똑같다고 해도 첫번째와 두번째의 히트판정은 다르기 때문에 그것은 다른 기술로 판정되어
계속 연속기로 인정이 되는 것이다.
(슬링은 돌을 5발 던져도, 그 5발 각각 다른 공격 판정을 가진 것과 마찬가지)
그리고 이건 TOD(타워오브 둠)와 같은 사항인데, 아이템을 있다면 아끼지 말 것.
아케이드에서 다른 유저들이 플레이하는 것을 보면 CSW링을 9개 잔뜩 채우고서 쓰지도 못하고
죽는 것을 보면 참으로 안타깝다. 이 게임은 아이템을 아낄 필요가 없다.
특히 CSW링은 HP가 줄었다면 주저 없이 써라. 죽으면 그것으로 끝이다.
인물의 설명편
이번 D&D2는 6명을 기본으로 총 12명의 캐릭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전작엔 엘프 한명이라면 다른 사람은 엘프 선택이 버그가 나지 않는 한 불가능했지만
이번 작에서는 2인의 캐릭터가 준비되어 2명이 동시에 고르는 것이 가능하다.
이름과 겉모습이 약간 다른 캐릭터가 선택되는 것,
매직유저와 클레릭은 준비된 2인이 약간 다르다. (마법 면에서 약간 다른 것을 말하는 것)
▁▁▁▁▁▁▁▁▁▁▁▁▁▁▁▁▁▁▁▁▁▁▁▁▁▁▁▁▁▁▁▁▁▁▁▁▁▁▁▁▁▁▁▁▁▁▁
- 엘프 (Elf) -
이름 : 1P LUCIA, 2P KAYLA
RPG에서 거의 등장하는 종족으로 숲에서 사는 엘프가 대부분이다.
아름다운 외모와 긴 수명으로 유명한 이 종족은 이 게임에서 전사+마법사의 조합직업을 가진
캐릭터로 조합직업이라는 이점 때문에 레벨10에서 더 이상 레벨업을 하지 않는다.
(D&D의 룰에 따른 것) 기본무기는 '숏소드'이고 방패를 가지고 있으며 무제한의 활을 쓸 수 있다.
(화살을 먹으면 점수가 2000점 올라간다) 방어력은 무척 떨어지며 공격력 역시 파이터보다 약하고,
마법력도 '매직유저'에 비해 파워가 떨어진다.
하지만 무제한 활과 파이터와 마법사의 중간개념이라는 점에서 단점을 커버할 수 있다.
스킬
일격 : (→ + A)엘프의 강공격은 대공기로서의 역활도 잘 해내고 발동속도도 빠른 편이며
연속기의 중간에 끼워 넣기도 용이하다.
단점이라면 기본무기인 숏소드 장비 시 리치가 짧다는 것 정도.
대쉬필살기 : (↓↘ + A)엘프의 대쉬필살기는 파이터의 것에 비해 공격발생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단점은 더욱 많은데...
일단 이동거리가 짧아서 상대에게 공격이 닿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공격판정 발생 후에도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서(딜레이가 길다는 소리)
공격받기 쉽우며 공격력이 약하다. 대쉬필살기를 쓸 때 상대에게 공격이 닿지 않으면
재빨리 대공필살기로 캔슬하는 것을 생활화하도록 하자.
대공필살기 : (↓↑ + A)엘프의 대공필살기도 클레릭의 것과 마찬가지로 대공기로 쓰기에는 무리가 있고 연속기용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이다. 먼저 검을 한바퀴 돌린 뒤
대쉬필살기(같지만 약간 짧은)를 하고 그 뒤 썸머솔트를 하여 상대를 띄운 후
공중에서 칼로 베는 연계가 이루어지는데 클레릭의 것과는 달리
상대의 고도에 상관없이 전탄 히트하므로 안심.
대쉬필살기에서 이어주면 공격력도 상당하고 안정적인 연속기가 된다.
단점이라면 보스들 중에는 마지막의 검 공격이 히트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메가크래쉬 : (A + B)엘프의 메가크래쉬는 자신의 주위에 나뭇잎의 소용돌이를 일으켜
주위의 적을 공격하는 것인데 공격 발생시간이 굉장히 깊다.
물론 무적시간도 그만큼 깊다. 단점이라면 공격시간이 길기에 한자리에 오래
머물게 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휴지드래곤과 싸울 때에는 의외의 공격력을 자랑한다.
회피기보다 공격기라는 느낌이 강한 메가크래쉬.
스톤핑 : (B, ↓ + A)엘프의 특징 중 하나인 스톤핑. 점프하여 검을 아래로 향한 뒤 낙하하여
상대를 찍어 누르는 기술. 그리고 상대에게 히트하면 다시 엘프가 튀어오르는데
이때 방향키로 보정이 가능하다. 다시 적에게 명중하면 찌르고 튀어 오르기를 반복,
한번 점프에 최대 6회까지 찍는 것이 가능하다.
쓸만하다면 쓸만한데 낮은 공격력이 문제.
엘프의 연속기
A-강공격-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다운공격 적당히
대쉬공격-일격-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다운공격 적당히
사용마법
LV1 - 매직미사일
LV2 - 투명마법
LV3 - 파이어볼, 라이트닝 볼트, 헤이스트
LV4 - 아이스 스톰, 폴리몰프 아더
LV5 - 정령소환
플레이 어드바이스
지성과 민첩함을 갖추었지만 힘과 건강이 상당히 낮다. 그 덕택에 HP상한가도 낮다.
단 SOM에 서는 화살을 무한대로 장비하고 있고, 특수공격에 대한 내성도 강한 편이라
굴의 공격에 빠른 회복을 보이는 장점도 있다. 무한 활로 지원사격하는 것을 잘 익혀두도록 하자.
- Fighter (전사) -
이름 : 1P CRASSUS, 2P JARRED
방어력, 공격력이 듬직한 갑옷만큼 빵빵한 캐릭터로 이 게임에서 매직유저의 보디가드로
듬직한 캐릭터. 마구 때리고 치는 형식의 게임을 좋아하는 사람이 할만한 캐릭터다.
기본 무기는 노말 소드로 생각보다 상당히 길다.
스킬
일격 : (→ + A)파이터의 강공격은 강하긴 하지만 공격판정이 나오는 것이 너무 느리다.
단발로 사용하는 것 보다는 상대를 띄워놓고 낙하하는 것에 맟추어 추격타를 넣는
느낌으로 사용하도록. 혹시라도 실수하는 일이 없도록.
대쉬필살기 : (↓↘ + A)파이터의 대쉬필살기는 대쉬개시와 공격판정이 나오기까지 시간이
약간 걸린다 (느린 것 이라기보다는 전반적으로 느린 느낌이랄까)
그러나 그만큼 공격후의 딜레이가 적고 공격력도 높다.
이동거리도 다른 캐릭터의 대쉬 필살기에 비해 길다.
대공필살기 : (↓↑ + A)파이터의 대공필살기는 말 그대로 대공기라고 할 수 있을 정도.
검을 휘두르며 솟아오르면서 공격하는데 상승 중 공격버튼을 한번 더 누르면
한번 더 상승하며 공격한다. 공격력도 높고 발동도 빠르며 공격판정도 좋다.
그러나 낙하시의 딜레이는 무시하기 힘들다. 단발로 사용하기 보다는 역시 통상공격에서 추격타로 넣거나 대쉬필살기에서 공중콤보로 사용하는 용도.
메가크래쉬 : (A + B)파이터의 메가크래쉬는 전 캐릭터중 가장 빠른 공격발생 속도와
가장 넓은 공격범위를 자랑한다. 무적 시간은 그리 긴 편이 아니지만 회피기로서의
능력은 상당하다. 그리고 무적시간이 끝날때까지 공격판정이 계속되기에
혼자만 맞거나 하는 일은 없다. 평범하게 보이지만 의외로 상당한 고성능의 메가크래쉬.
단순무식의 연속기
파이터의 기본적인 연속기는 A-A-A-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2히트)에서 낙하하는 상대에게
아무렇게나 추격타를 넣어주는 것이다. 콤보의 기본을 잊지 않는다면 헬 하운드 때려잡기
한방 콤보도 간단히 나온다.
숏소드 장비시 : A(2히트)-A(2히트)-A(1히트)-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2히트)
낙하하는 적에게 대쉬공격(2히트)-적당히 반복
대쉬공격(2히트)-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2히트)-낙하하는 상대에게 적당히 추격타.
투핸디드소드 장비시 : A-강공격-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2히트)-일격-대쉬필살기
대공필살기-적당히 대쉬공격-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2히트)
일격-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적당히반복
사용마법
없음
플레이 어드바이스
방어력, 공격력이 뛰어나며 HP도 높고 방패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하기 적합하다.
또한 검과 도끼, 메이스류가 전부 장비 가능한 무기의 프로페셔널. 전설의 검을 얻는 것도 좋지만
강력한 전용검인 투핸드소드도 좋다. 많은 사람들이(특히 처음 게임을 접하는 사람들) 이쪽 계열은
마법에 한계가 있어서 후반부에는 고전이 예상된다고 생각되겠지만 의외로 LB링이 많이 나오므로
그리 걱정없다. 파이터로 일단 연타와 효과적으로 싸우는 법을 익혀라.
A버튼 연타로 나가는 공격은 4단계인데 4발째의 공격이 일격(→+A)과 모션이 같아서 너무 느리다.
A버튼 3발째에 대쉬필살기로 캔슬시키는 것이 기본. 숏소드를 얻었을 경우 이도류가 가능하나
이도류는 게임 후반부에는 사용빈도가 적어진다.
언제 피하고 언제 방어를 해야 하는지 확실히 익혀라. 이점을 익혀야 나중에 방어력이 떨어지는
캐릭터(시프 등)로 하더라도 무리가 없다.
▁▁▁▁▁▁▁▁▁▁▁▁▁▁▁▁▁▁▁▁▁▁▁▁▁▁▁▁▁▁▁▁▁▁▁▁▁▁▁▁▁▁▁▁▁▁▁
- MagicUser (마법사) -
이름 : 1P SYOUS, 2P D'raven
D&D2에 추가된 직업으로 마법사인 만큼 공격, 방어에서 최악이다. 대쉬 연속기나 대공기가 없고
회피기도 없다. 게다가 너무 힘이 없어서 상자를 드는 것, 벽을 미는 것, 물건을 미는 것 등이
불가능하다. 방패도 당연히 장비 불가능. 장점이라면 마법의 사용횟수가 많다는 것과
육탄전의 크리티컬 히트를 내면 굉장한 대미지를 낸다는 점. 무적의 백스텝등이 있겠다.
(점프버튼을 연타(B,B)하면 잠시 무적상태가 되며 뒤로 백스텝을 한다)
마법을 유용하게 쓸 수 있어야 하고 마법에 대해 능통(속성이나 효과)해야 하며
마법 고르는데도 능숙해야 매직유저의 진정한 재미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스킬
일격 : (→ + A)매직유저의 핵심중 하나인 단검공격. 통상공격력은 1도트 안팍이지만
가끔씩 크리티컬 히트를 내면 입이 쩍 벌어질 정도의 위력을 자랑한다.
크리티컬의 데미지는 찔린 상대의 체력에 비례하기에 레드드래곤 같은 적에게
크리티컬 히트가 나면 더욱 큰 데미지를 줄 수 있다. 그리고 연속 공격이 없는 매직유저의
통상 공격을 캔슬시켜 틈이 없는 연속기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고마운 기술.
(A-강공격-A-강공격-A...)특정의 적에게는 다운공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대쉬공격 : (→→, A)매직유저의 통상공격은 너무 약하다. 게다가 상대가 3발만 맞으면
다운되어 버린다. (앉아서 하는 공격은 8대에 다운. 경우에 따라서는 이쪽이
더 효과적인 공격이 될지도) 매직유저의 대쉬 공격은 2히트의 모션도 빨라서 좋다.
그리고 일격으로 캔슬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강력한 연속기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백스텝 : (B, B)회피가 중요한 매직유저에게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액션중 하나인 백스텝.
백스텝중에는 무적인데 끝날 때에는 허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거리가 상당히 길 때가 있고, 짧게 이동할 경우가 있는데
아직 이것의 정확한 원인은 못 찾고 있다.
매직유저는 백스텝을 이용한 무적시간 유지법이 있긴 한데,
마법사용횟수가 0이 된 것에 링커맨드를 맞추고 사용버튼을 누르면
매직유저가 마법서를 드는 모션을 취하는 이때가 무적이다.
여기서 다시 백스텝을 하면 그 모션이 캔슬되며 백스텝이동 또한 무적.
다시 백스텝이 끝나기 전에 사용버튼으로 무적. 다시 백스텝으로 무적.
이것을 무한 반복가능. 이것은 드래곤 브레스마저 지나가는 만행을 보이기도 한다.
사용마법
LV1 매직미사일
LV2 없음
LV3 파이어볼, 라이트닝 볼트
LV4 아이스 스톰, 윌오브 파이어
LV5 정령소환(1P전용), 클라우드 킬(2P전용)
LV6 P.I.,플레쉬 투 스톤
LV7 중력반전 마법
LV8 없음
LV9 메테오 스웜(1P전용),파워 워드 킬(2P전용)
플레이 어드바이스
이 캐릭터는 그야 말로 도망 다니는 플레이를 해야 한다. 왠만한 적은 보디가드가 처리하도록 하고
자신은 보디가드가 위험할 때나 마법을 쓰도록 한다.
하지만 전부 피하지는 말고 적 한 두개체 정도는 상대하여 보디가드의 짐을 좀 덜어주자.
보스전에서는 동료가 위험할 때만 마법을 쓴다. 마법 남발은 자신이 초보자라는 것을 자랑하는
꼴이라는 것을 명심하도록 하자. 보스전에서 → + A를 시도하다 보면 가끔 크리티컬 히트가 터지니
때를 적당히 맞춰 시도한다. 특히나 마법을 고르는 시간이 좀 걸리는데 이것을 얼마나 능숙하게
잘 하느냐에 따라서 고수와 하수로 나뉜다.
몸이 상당히 허약하여 해머나 화살등은 장비하지 못한다.
▁▁▁▁▁▁▁▁▁▁▁▁▁▁▁▁▁▁▁▁▁▁▁▁▁▁▁▁▁▁▁▁▁▁▁▁▁▁▁▁▁▁▁▁▁▁▁
- Dwarf (드워프) -
이름 : 1P DIMSDALE, 2P HENDEL
드워프족의 전사다. 드워프족은 판타지 세계에서 등장하는 종족으로 키는 인간의 2/3정도 이며
힘이 세고 금에 대해 집착이 강하며 손재주가 있다고 한다.
때문에 훌륭한 전사이기도 하면서 동시에 일류의 직인이기도 하다.
땅에서 나는 광물들을 제련하여 쓸모있는 물건과 예술품을 만들어내는 실력이 뛰어나다.
이 게임에서는 최고의 내구력과 HP를 자랑하며 마법내성도 뛰어나며, 공격 방어력도 상당하다.
단 드워프는 엘프와 마찬가지로 아인종이기에 레벨의 상한이 일찍 찾아온다.
상한레벨은 12. 공격력은 2위지만 1위인 파이터 보다 더 뛰어난 파워를 자랑한다.
파이터는 한 번 칼을 휘두를 때 마다1대씩 치지만 드워프는 2,3대씩 친다.
특히 대공필살기의 위력은 실로 엄청나다. 이상하게도 SOM에서는 드래곤킬러라 불릴 정도로
드래곤에게 강하다. 스피드가 둔하다는 것이 단점이지만 파워위주로 플레이를 하고 싶은 캐릭터는
이 캐릭터를 선택하는 것을 추천한다.
키가 작아 보우놀이나 새도우엘프가 쏘는 화살도 맞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고 처음부터 은단검을
가지고 나온다는 등의 장점도 있다. 파이터를 파워중심형으로 개조 했다고 보면 된다.
스킬
돌아보기 공격 : (방향반대쪽으로 돌리며 + A)기본적인 A버튼공격이 그리 빠르지 않은 드워프에게는
통상공격보다 자주 쓰이는 것이 돌아보기 공격이다.
어느 방향으로 이동을 하다가 공격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파이터와 마찬가지로
주력으로 쓰이는 액션.
일격 : (→ + A)드워프의 강공격은 전방으로 도끼를 휘두르는 것인데 3히트의 공격판정을 가진다.
발동은 느린 편이나(파이터와 비슷) 공격력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느리다는 것이 엄청난 문제가 되지만 그 이외에는 문제삼을 것이 없다.
대쉬필살기 : (↓↘ + A)드워프의 대쉬필살기는 3히트하는 공격인데 그 공격력은 절묘하다.
게다가 다단히트이기에 이 기술만 난무해도 콤보가 성립된다.
그러나 그 공격력과 히트수 때문에 잃은 것이 많은데,
일단 공격판정이 상당히 늦게 나온다. 거기에 공격판정이 나오기 전에 상당한 거리를
이동하고 공격하게 되기에 일정 거리이내의 적은 공격할 수 없다.
또 다른 캐릭터와는 달리 가드당하면 드워프가 살짝 튕겨서 딜레이가 생긴다.
대쉬필살기에서 잘 캔슬하여 대공필살기로 연결시키면
그야말로 순살의 콤보가 가능하다.
대공필살기 : (↓↑ + A)드워프 최대 필살기이자 이 게임 최대의 공격기술.
잠깐 앞 구르기를 해서 이동한 뒤 그 자리에서 솟아오르는 구성인데
솟아오를 때부터 정점에서 낙하할 때가지 완전 무적이다.
그리고 진정한 대공필살기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땅에 있는 상대에게는 1~2히트밖에
하지 않지만 공중에 뜬 상대에게 맞춘다면 5히트 이상도 나오는 기술이다.
상승시의 무적시간을 잘 이용한다면 회피용으로도 쓸 수 있다.
드워프는 이 스킬 때문에 드래곤킬러라 불리운다.
메가크래쉬 : (A + B)드워프의 메가크래쉬는 수직으로 솟아오르며 주위의 적을 공격하는 스타일로
발동이 파이터 못지않게 빠르다. 그만큼 무적시간도 짧지만 공격범위가 넓어서
주위의 적을을 확실히 날려 보낼 수 있다. 일순간의 회피에는 상당히 좋다.
롤링어택 : (B, ↓ + B)좌우 방향점프를 한 상태에서 ↓ + 점프버튼을 입력하면 드워프가 회전하면서
낙하하여 주위의 적에게 대미지를 준다. 보기에는 꽤 강하게 보일것 같지만
이 공격은 가상대미지 공격으로 취급되어 실제로의 공격력은 생각보다 낮다.
인비지블리티가 걸렸을 때 왜인지 이 기술은 사용해도 모습이 드러나지 않는다.
별로 쓸데가 없어서 기억속에서 잊혀지는 기술.
백열베기 : (A연타)공격버튼을 연타하면 (1초에4회)전방을 향해 백열베기를 한다.
한발한발의 공격력은 보통이지만 연사력이 높다.
그러나 한 명당 6히트이상 가지 않는다는 점과 사용후의 딜레이가 길다는 점.
다운공격으로 들어가지 않는 다는 점도 문제. 헬하운드를 몰아넣고 잡을 때에는 유용하다.
대지의 분노
드워프의 연속기는 그야말로 초절. 그 자체다. 그러나 대쉬나 대공필살기가 들어가지 않으면
위력이 나오지 않는다. 드워프에 있어 연속기의 열쇠는 대쉬필살기의 히트다.
대쉬필살기(3히트)-대공필살기
거리확보후 A-대쉬필살기(3히트)-대공필살기
대쉬공격-대쉬필살기(3히트)-대공필살기
사용마법
없음
플레이 어드바이스
파이터와 비슷하지만 팔이 짧다는 단점으로 리치가 짧고 다리가 짧다는 단점으로 스피드가 느리지만
대신 파워와 내구력이 커버를 해준다. 파이터와 비슷한 형식으로 플레이하면 되겠다.
LB링도 적당히 나오고 전용무기 배틀엑스가 따로 있기에 저주받은 검 1의 저주를
반드시 풀 필요도 없다. 게다가 드워프는 드래곤킬러이므로 용 잡으러 다니는 루트로 가보는 것도
좋겠다. 그리고 후반에 텔아린, 텔아론형제와 싸우는 쪽으로 진행하는 것도 재미있다.
또 한가지, 드워프가 상자를 열 경우 상자는 잠시 동안 없어지지 않고 남아있다.
이때 상자를 부수면 아이템 밑돈이 나오게 된다.
▁▁▁▁▁▁▁▁▁▁▁▁▁▁▁▁▁▁▁▁▁▁▁▁▁▁▁▁▁▁▁▁▁▁▁▁▁▁▁▁▁▁▁▁▁▁▁
- Thief (도적) -
이름 : 1P MORIAH, 2P SHANON
설명
재빠른 몸놀림과 신속한 상황판단. 그리고 함정에 대한 지식등으로 파티를 돕는 던젼탐험의 전문가.
레벨업에 필요한 경험치가 가장 적기에 성장도 빠르다.
(최종보스 클리어 시, 시프가 가장 레벨이 높은 이유도 여기에 있다)
SOM에서 추가된 직업으로 당연히(?) 가드가 불가능하고 방어력이 딸린다.
직업에서 알 수 있듯 도적이라서 열쇠 없이도 잠긴 상자를 여는 것이 가능하고
함정을 미리 파악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파티중 시프가 있다면 열쇠는 필요 없다는 얘기.
또한 몬스터에게 아이템을 강탈(픽 포켓)할 수 있는 것은 또 하나의 재미이며,
캐릭터 속도 또한 전 캐릭터 중에서 가장 빠르고 백스텝이라는 기습공격을 할 수 있다.
슬링은 무제한이며 점프를 연속으로 누르면(B,B) 뒤로 덤블링을 뛰어 잠시 무적상태가 된다.
삼각점프 및 2단 점프를 할 수 있으며 이것을 조합해서 도합 5단 점프가 가능하다.
스킬
일격 : (→ + A)이 게임 최고의 강공격. 발동속도가 다른 캐릭터의 통상공격 속도와 맞먹는다.
게다가 공격력도 높은 편. 공격판정도 넓어서 대공과 전방을 완전히 커버한다.
단점이라면 몸이 앞으로 나가기에 리치같은 적과 싸울 때 주의가 필요하다.
사용빈도는 통상공격 못지않을 정도로 높다.
대쉬필살기 : (↓↘ + A)시프의 대시필살기는 한 손엔 숏소드. 다른 한손에는 들고 있는
무기를 이용하여 공격하는 2히트 공격이다. 2히트이기에 단순히 난무만 해도
연속기로 들어간다. 또 2히트하기에 공격력도 상당수준이다.
공격판정도 일찍 나오는 편. 단점이라면 돌진력이 조금 낮다고 할까.
경우에 따라 첫타만 히트하고 두번째 공격이 맞지 않는 경우가 종종있다.
대공필살기 : (↓↑ + A)시프의 대공필살기는 파이터처럼 솟아오르며 공격한 뒤
아래로 LB오일을 던지는 구성이다. LB오일은 실제 던지는 LB오일과는 달리
공격력이 상당히 약하고 연속가격이 불가능하다. (실제LB오일은 연속가격이 가능)
단 이 기술의 장점이라면 LB오일로 상대를 다운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까,
(LB오일은 가드불가능)LB오일에 맞은 상대는 떠오르기에 추격타를 넣는 것도
가능하다. 단 불꽃에 내성이 있는 캐릭터에게는 무리.
메가크래쉬 : (A + B)시프의 메가크래쉬는 특히나 최악이다. 살짝 점프뛰면서 주변에 LB오일을
던지는데 보기에는 그럴듯해 보이지만 무적시간은 점프 시 이미 사라지고
오일로 인한 공격판정은 상당히 늦게 나온다. 그래서 쓰다보면 공격은 공격대로 맞고
회피기로 인한 대미지는 대미지대로 받는 바보같은 경우가 발생한다.
백스텝 : (적의 뒤에서 →←+A)시프가 강력한 캐릭터가 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인 백스텝.
적의 등 뒤에 올라타서 칼로 세 번 찌르고, 차 날리는 공격인데 공격력이 상당히 높고
잡기 범위도 굉장히 넓다. 그리고 차 날린 상대에게도 여러가지 추격타가 들어간다.
시프로 한다면 반드시 익히기를 권장한다.
백덤블링 : (B, B)시프의 백덤블링은 발동시 무적시간이 있기에 여러가지 국면에서 도움이 된다.
위기회피나 함정위를 지나갈 때 등등 유용한 구석이 상당히 많다.
단 끝날 때 쯤, 무적이 풀리므로 위치선정을 잘 하도록.
픽포켓 : (대쉬후 적과 박치기)시프가 가진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인 픽포켓.
픽포켓은 시프로 적 캐릭터에게 대쉬 몸통박치기를 하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100%확률로 나오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여러번 해야 한다.
브롯치를 장비하면 아이템이 나올 확률이 높아지며,
보스급의 적들도 픽포켓이 가능하므로 자주 시도해 볼만한 액션이다.
사용마법
없음
플레이 어드바이스
이 캐릭터는 파이터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방패가 없어서 어려운 보스들이 몇 있다.
하지만 모든 상자를 열 수 있다는 매력이 있으므로 상자가 많이 나오는 곳으로 가면 재밌다.
또한 시프가 쓸만한 검이라고 해봐야 전설의 검 뿐이니 놈의 마을에 들러서 CSW링을
많이 사놓는 것이 좋겠다. LB링은 많이 나오니 그리 문제는 없다. 시프의 강탈은 특히 아주 유용하다.
우리편에게 신나게 맞고 있는 적에게 달려가 강탈을 시도한다.(이때가 가장 안전하게 강탈할 수 있다)
강탈은 얻기 힘든 아이템을 쉽게 습득가능하게 한다.
BB 및 이단 점프로 피하는 것을 유용하게 사용하며, 슬링을 아군 지원용으로 유용하게 써야한다.
엘프와 연대 활+돌멩이 연타도 보스전에서 상당히 쓸만하다.
대공공격기에 기본적으로 던지는 오일은 모양은 LB오일인데 데미지량을 보면 그냥 오일정도밖에
안된다. 백스텝(적 등뒤에서 →←+A)을 종종 활용해라.
기본적으로 전투에 능숙해야 이 캐릭터를 사용해도 무난하다.
- Cleric (성직자) -
이름 : 1P GRELDON, 2P MILES
설명
성직자는 주로 보조 마법을 사용하는 직업으로 무기는 날이 없는 무기만 사용하기 때문에
날이 없는 해머, 메이스, 철퇴류의 무기를 사용한다. 공격력,방어력은 3위이지만 전투 기술은
전사계열에 떨어지지 않는다. 이 게임에서 가장 스피디한 대쉬 공격을 할 수 있으며
연속기로 때리기 가장 좋은 캐릭터다. 팀 플레이시 꼭 필요한 캐릭터로 없으면 고전을
면치 못할 것이다. 턴언데드로 잡다한 언데드 무리를 간단히 처리 할 수 있다.
스킬
일격 : (→ + A)시프와 더블어 가장 유용한 강공격. 파이터와는 달리 상당히 발동속도가 빠르다.
게다가 시프와 마찬가지로 전방을 향한 대공기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 강공격에서 대쉬필살기-강공격-대쉬필살기-강공격의 무한 콤보도 가능하다.
턴 언데드 : (A + B)성직자의 메가크래쉬는 공격용이 아니라 언데드들을 소멸시키는 턴 언데드다.
덕분에 위기회피나 무적시간을 이용한 회피는 기대할 수 없지만 언데드를 소멸시킨다는
그 효과는 상당하다. 그리고 무적시간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성직자가 홀리 심볼을 높이 쳐들고 화면이 번쩍일 때부터
홀리 심볼을 집어넣을 때 까지 무적. 성직자의 무적은 다른 무적과는 달리
화면상에 성직자의 존재 판정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 예로 신과 싸울 때 바닥을 밟으면 나오는 벽 바닥을 밟은 채 턴 언데드를 쓰면
성직자의 존재 판정이 사라져 벽이 내려간다. 그리고 의외로 여러가지 쓰임새가 있다.
대쉬필살기 : (↓↘ + A)이 게임에 있어 최고 성능의 대쉬필살기를 꼽으라면 바로 이 성직자의
대쉬필살기가 되겠다. 발동이 전 캐릭터 중 가장 빠르고 공격판정이 일찍 나오며
이동거리가 길고 공격후의 딜레이도 없다. 그야말로 가장 이상적인 대쉬필살기의 형태.
성직자는 다른 이동수단보다 대쉬필살기로 이동하는 것이 더 빠르다.
대공필살기 : (↓↑ + A)조금 특이한 형태의 대공필살기. 먼저 '어퍼스윙'으로 적을 띄우고
성직자가 따라 점프하여 띄워 올린 적을 바닥으로 내려찍는 형태로 구성된다.
공격력은 2히트시 강하다고 할 수 있는 편이고 발동도 빠른 편이다.
단 어퍼스윙이 히트했다고 해서 찍어 누르기가 반드시 히트하는 것이 아니라서
공중콤보로 넣으려면 고도를 잘 맞추어서 써야한다.
그리고 말이 대공필살기지 대공기로는 무리. 찍어 누르기 후에는 딜레이가 큰 편.
*모닝스타장비시
일격 : (→ + A)모닝스타를 장비한 상태에서 나가는 강 공격은 일반 강 공격과 모션은 같지만
모닝스타가 뻗어나가기에 원거리에 있는 적을 공격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기타 판정은 일반 강 공격과 같지만 사정이 길어진다는 것이 특징이다.
알아둘 점은 캔슬을 하려면 모닝스타가 뻗어나가기 전에 해야 한다는 점이다.
모닝스타가 뻗은 뒤에는 캔슬이 불가능하다.
대공필살기 : (↓↑ + A)모닝스타를 장비하면 대공필살기도 변화한다.
어퍼스윙이 아니라 모닝스타를 돌리는 필살기로 변한다. 공격판정이 나오기 까지
약간의 시간이 걸리지만 공격판정이 상당히 오래 유지되며 클레릭 주위에 넓게
공격판정이 생기는 엄청난 기술. 단점은 클레릭이 한자리에 오래 머물게 된다는 점과
공격 후 딜레이가 약간 남는다는 정도.
신의 축복을 받은 깡패의 연속기
클레릭의 연속기는 강공격과 대쉬필살기의 반복만으로도 충분할 정도다.
그외의 기타등은 약간 적어 두었으니 참조하도록. 어차피 콤보의 법칙만 알면 계속 나온다.
메이스1 : 대쉬공격-대쉬필살기-일격-대쉬필살기-일격-대쉬필살기-적당히반복
메이스2 : A-A-A-강공격-대쉬필살기-대공필살기-대쉬필살기-일격-적당히반복
사용마법
LV1 - 없음
LV2 - 홀드퍼슨, 블레스
LV3 - 스트라이킹, 컨티뉴얼 라이팅
LV4 - C.S.W. 스틱 투 스네이크(1P전용)
LV5 - C.C.W. 인섹트 플러그(2P전용)
LV6 - 없음
LV7 - 어스 퀘이크(2P전용), 홀리 워드(1P전용)
플레이 어드바이스
언데드 몬스터가 나오면 턴언데드를 사용한다. 전투는 파이터 류와 똑같이 하며 위급한 상황에서는
'홀드퍼슨'과 '컨티뉴얼 라이트'를 쓴다.
보스전에서는 홀드퍼슨과 스트라이킹을 쓰며 어떠한 상황에서도 스틱 투 스네이크와
인섹트 플러그을 쓰지 않는다. LV4와 LV5문서는 어떠한 일이 있어도 먹을 것!
▁▁▁▁▁▁▁▁▁▁▁▁▁▁▁▁▁▁▁▁▁▁▁▁▁▁▁▁▁▁▁▁▁▁▁▁▁▁▁▁▁▁▁▁▁▁▁
이름에 관해
유저 플레이 타입은 쓰는 글자의 한 글자 한 글자의 점수를 따져서 계산된다.
즉, A B C D E까지는 A=0점 B=1점 ~ E=4점으로 계산되고,
다시 F G H I J에서는 F=0점 G=1점 ~ J=4점이라는 식으로 Z까지 계산되는 것이다.
그리고 타입은 총 합산 점수에 따라 결정된다.
(일어판 보드) 일문판 점수
0 1 2 3 4 5 6 7 8 9
ア イ ウ エ オ マ ミ ム メ モ
カ キ ク ケ コ ヤ ユ ヨ - !
サ シ ス セ ソ ラ リ ル レ ロ
タ チ ツ テ ト ワ ヲ ン
ナ ニ ヌ ネ ノ ァ ィ ゥ ェ ォ
ハ ヒ フ ヘ ホ ッ ャ ュ ョ ?
(영문판 보드) 알파벳 점수
0 1 2 3 4 A : 0
B : 1,10,19,28,37,46
A B C D E C : 2,11,20,29,38,47
F G H I J D : 3,12,21,30,39,48
K L M N O E : 4,13,22,31,40,49
P Q R S T F : 5,14,23,32,41,50
U V W X Y G : 6,15,24,33,42,51
Z H : 7,16,25,34,43,52
I : 8,17,26,35,44,53
J : 9,18,27,36,45,54
숫자는 알파벳과 따로 점수를 먹인다. 숫자 점수는 다음과 같다.
5 6 7 8 9 ← 점수
0 1 2 3 4 ← 숫자
5 6 7 8 9 ← 숫자
특수문자..
!,? : 9
& : 6
- : 8
ⅰ : 5
ⅱ : 6
ⅲ : 7
SPACE : 7
(예시) 영문판 게임중의 자판
A B C D E F G H I J K
0 1 2 3 4 0 1 2 3 4 0
L M N O P Q R S T U V
1 2 3 4 5 6 7 8 9 0 1
W X Y Z ? ! & -
2 3 4 0 9 9 6 8
1 2 3 4 5 6 7 8 9 0
6 7 8 9 5 6 7 8 9 5
ⅰ ⅱ ⅲ (SPACE)
5 6 7 7
타입에 따른 결정
타입이 결정되면 게임시작과 동시에 특정한 아이템을 소지하게 되는데.
예) DEATH => 3+4+0+4+7=18 => 8(I타입)
A-메달
B-스피드부츠
C-머리장비들(캐릭마다 다름)
D-프로텍션 링
E-레지스트 파이어 링
F-스펠터닝 링
G-오우거 건틀렛
H-캐릭마다 다름
전사,드워프-엉클렛. 엘프-이어링. 클레릭,시프-브로치. 매직유저-로드 오브 파이어
I-캐릭마다 다름
매직유저를 제외한 모두-브레스렛. 매직유저-로드 오브 콜드
J-캐릭마다 다름
전사,드워프,클레릭,시프-오브. 엘프-네클리스. 매직유저-로드 오브 라이트닝
※이름은 길면 길수록 카리스마가 그만큼 늘어난다.
카리스마수치가 크면 루트선택 시 우선권이 주어지며,
장비품목인 오브(Orb)로도 약간의 카리스마를 증가시킬 수 있다.
D&D 마법에 대한 유용성 평가
개요
D&D 씨리즈의 개장 매력인 마법은 1탄에서는 해당 마법의 문서를 먹으면 되었고
마법끼리의 상관관계같은 것 없었다. 하지만 2탄에 오면서 마법 시스템에 상당한 변화가 왔다.
이를테면 같은 레벨 3의 마법 파이어볼, 라이트닝 볼트, 헤이스트는 어느 한쪽만 쓰더라도
한쪽의 주문이 줄어들게 된다. 예를 들자면 엘프의 초기 라이트닝 볼트, 파이어볼, 헤이스트는
3이지만 파이어볼을 한 번 쓰면 파이어볼만 2로 주는 것이 아니라
라이트닝 볼트, 헤이스트도 2로 줄게 된다.
이는 초보자들이 상당히 헛갈려하는 문제로 그들을 도움을 주고자 이렇게 설명을 쓴다.
위는 D&D의 룰을 따른 것으로 D&D의 세계에서는 마법을 MP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술자에 아침에 문서에서 마법을 외운 후 쓰고 난 뒤에는 잊어버리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SOM에서는 그런식은 아니고 일정한 스테이지를 거치면 레벨업이 되면서 마법이 차게 되어있다.
(엘프는 레벨업은 안되고 마법만 찬다)
또 마법문서를 먹으면 그 해당레벨의 마법이 오르게 된다.
참고로 마법 사용캐릭터의 마법이 차는 스테이지를 적도록 하겠다.
2스테이지(클레릭)
3스테이지(클레릭,매직유저,엘프)
4스테이지(클레릭)
5스테이지(매직유저,엘프)
6스테이지 전반부 - 맨티코어와의 전투 (클레릭)
6스테이지 클리어 (매직유저)
7스테이지 (엘프,기판의 발매일에 따라 클레릭이 레벨업을 한다.)
8스테이지 (기판의 발매일에 따라 매직유저가 레벨업을 한다.)
9스테이지 레드드래곤과의 전투 (매직유저,클래릭,엘프)
10-3 스테이지(매직유저,클레릭,엘프)
10-5 스테이지(클레릭)
10-6 스테이지(클레릭,매직유저,엘프)
※기판의 발매일
D&D2의 기판은 발매일에 따라 버전이 틀리다.
기판이 처음 2/6 2/8일 발매 기판은 매직유저와 엘프의C/E(콘쥬어 엘리멘탈)의 그래픽이 같으며
특정스테이지에서 레벨업을 하지 않는다.
마법 평가
S - 정말 소중한 마법
A - 아주 효과적인 마법
B - 효과적인 마법
C - 쓸만한 마법
D - 미세한 효과가 있는 마법
F - 쓰면 바보인 마법
※본평가는 같은 레벨 마법간의 상대적인 평가이다.
LV 1
Magic Missile - A
평 - 저레벨의 마법 답지 않게 파워가 세다. 매직유저가 문서가 나오면 먹기를 권하며
다수의 적보다는 하나의 적에게 써야 효과적이다.
효과 - 마법의 화살로 LV8~9에서 2방, LV10~14에서 3방, LV15~19 4방
LV20~ 5방이 나간다. 화면에 최대 표시되는 매직미사일은 5방으로, 이 이상 나가면
폼만 재고 미사일은 나가지 않는 일이 생긴다.
결국 마구 쓰는 자는 자기가 초보자라고 공개하는 것밖에 안된다.
LV 2
Hold person - A
평 - LV2마법중 가장 효과적이다. 인간 형태의 적에게 강력한 효과를 발휘 한다.
효과 - 빛의 밧줄로 인간형태의 물체를 포박한다. 최대 4인 까지 포박가능하며 아주 유용하다.
Bless - D
평 - 이마법을 쓰면 좀 효과가 있긴 하다. 하지만 이걸 쓸 바엔 '홀드퍼슨'을 아끼는 것이 낳다.
효과 - 전체 공격력 +1 방어력 +1
Invisivility - B
평 -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 유용함이 드러나는 마법. 혼자 플레이 할 땐 유용하나
여럿이 플레이 할 땐 얄미운 도구가 된다. 이를 테면 핀치에 몰렸을 때 이 마법을 쓰면
적의 공격을 당하지 않는다. 또 투명마법을 써도 알아보는 보스가 있으니 주의.
전설의 검의 저주를 풀 때 활용할 수도 있다.
효과 - 투명한 상태가 된다. 다른 사람한테 써줄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아이템 사용이나 공격 마법사용을 하면 주문이 해제 된다.
LV 3
Haste - A
평 - 보스전에 쓸만한 마법이다. 레드드래곤과 SYNN에서 엄청난 효과가 보인다.
잘못 쓰면 빨라진 속도만큼 빨리 맞을 수 있으니 주의. 양날의 칼이랄까.
효과 - 아군의 모든 속도가 2배가 된다. 점프 및 하강도 2배씩 빨라지고
다운 시 일어나는 속도도 2배가 되므로 맞는 것도 2배가 된다.
Lightning Bolt - B
평 - 유령보스에게 아주 효과적인 마법이다. 넘어져있는 적에게 때리면 100%맞는다.
위력은 그저 그렇다. 헤이스트 만큼 유용하지는 않다.
효과 - 라이트닝을 손끝에서 발사 한다. 위 아래 40도 가량 방향조정 가능.
누워있는 적은100% 맞는다.
Fire Ball - C
평 - 판정이 라이트닝 볼트보다 훨씬 안 좋다. 그나마 C점수를 받을 수 있는 건
블랙, 그린드래곤에게 라이트닝 볼트보다 유용하다는 것. (바로 밑에서 쏘면 잘 맞는다)
효과 - 머리위에서 불구슬을 만든 다음 45도 아래로 발사. 누워있는 적에게 한 번만 히트되며
연속 가격은 안 된다. 피격 거리도 짧고 파워도 라이트닝 볼트 보다 떨어진다.
Striking - A
평 - 이걸 걸고 적을 때리면 그 효과가 보일 것이다. 효과가 지속되는 시간도 꽤 기니 쓸만한 마법,
또한 전설의 검 저주를 풀 때 쓸만하다.
효과 - 공격력 +1~6 이 수치는 랜덤하다. 약 10초 정도 효과가 지속된다.
Contiual Linght - D
평 - 전작에 비해 엄청 유용성 다운. 몇몇 위급한 상황에서 위력을 발휘하기도 하지만
이것보다 스트라이킹이 더 유용하다.
효과 - 적이 약 2초 정도 움찔하게 된다. 우리편이 똥개에게 치이기 직전이나 보스의
움직임을 멈추도록 할 때 사용되어 진다.
LV 4
Ice Storm - A
평 - 전체 공격마법으로 판정이 우수하다. 공격마법으로 아주 좋다.
효과 - 화면 전체에 걸쳐서 얼음폭풍이 일어난다. 효과가 좋다.
C.S.W. - S
평- D&D씨리즈의 매력이자 성직자의 매력포인트. 이것 때문에 LV4문서가 나오면 무조건 클레릭.
효과 - 슈퍼포션 정도의 에너지가 찬다. 다른 사람한테도 써줄 수 있으니 아주 좋은 마법
Wall of Fire - C
평 - 판정이 안 좋다. 돌리면 범위가 증가하나 전체 공격도 아니고
공중에 있는 적은 택도 없다. 이걸 쓰느니 아이스스톰을 권한다.
효과 - 술자의 주변에 불의 장벽이 생기고 이것이 앞으로 전진하게 된다.
레베를 돌리면 불의 장벽이 한바퀴 돌고 나가긴 하나 그리 좋은 마법이라고는 할 수는 없다.
Polymorth Other - F
평 - 이걸 쓸 바엔 아이스 스톰을 쓴다.
아이스 스톰도 모자른 판국에 이따위 마법이나 쓴다면 당신은 D&D2 초보자.
효과 - 이것을 맞은 적은 동물로 변신한 채 도망친다. 변한 적은 당연히 아무것도 안준다. 그리고 보스급 캐릭터들 한테는 통하지 않으니 실험정신은 발휘하지 말자.
Sticks to Snakes - F
평 - Greldon(1P클레릭)전용 마법. D&D2의 최악의 마법씨리즈. 이것을 쓰는 자는 같이 하는 사람의
따가운 시선과 질책을 받을 것이다. 위력도 좋지 않고 지속시간마저 짧다.
효과 - 뱀이 쇼를 한다. 그리고 1탄에 비해 뱀이 좀 커졌다. C.S.W와 같은 레벨이 아닌
다른 레벨이였다면 좀 나은 평가를 받았을지 모르나, 그래도 역시 효율성이 없는 마법이다.
더 웃긴 건 꼴에 마법인데 이상하게 '가고일'에겐 맞지 않는다.
LV 5
Conjure Elemental - A
평 - 전체 공격마법으로 아이스스톰보다 위력이 좋다. 판정 우수, 공격마법으로 아주 좋다.
효과 - 정령을 소환한다. 매직유저SYOUS(1P매직유저)는 이프리트와 리바이아선,
엘프는 실프와 고렘, SYOUS는 전체공격마법으로 쓸만하고, 엘프는 고렘의 경우
공중에 떠있는 적은 맞지 않으며 실프의 경우 맞는 적이 너무 한정되어 있다.
Cloud Kill - B
평 - D'raven(2P매직유저)의 마법으로 자코한테는 좋을지 모르나 언데드계열 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효과 - 죽음의 안개(독 안개)을 사방으로 보낸다. 보스나 일반캐릭터에게 엄청난 위력이 있다.
단 숨을 쉬지 않는 캐릭터(언데드 계열)에게는 당연히 통하지 않는다.
C.C.W - S
평 - C.S.W의 파워업 판. LV5문서도 클레릭에게 몰아주도록 하자.
효과 - C.S.W에서 ± 포션 정도의 에너지가 찬다. 역시 좋은 마법
Insert Plague - F
평 - MILES(2P클레릭)전용 마법. 뱀쇼에 이은 최악의 마법 시리즈.
이걸 쓰면 C.C.W가 날아가 버린다! 가끔 크리티컬도 나오긴 하는데, 기대할 정도는 아니다.
효과 - 곤충들이 퍼레이드를 한다. (자이언트 비틀떼가 화면을 유턴해서 한바퀴 돈다)
최악의 마법이니 쓰지 않는 것이 좋다. 남아도는 상황(그럴리가)이라면 이야기가 틀리지만..
LV 6
Projected Image - A
평 - 매직유저의 무적마법으로 엄청나게 좋다. 사용한 뒤 크리티컬 히트를 노려볼 만 하다.
효과 - 술자의 분신이 생겨나서 공격을 대신 맞아 준다. 즉 사용동안은 무적이다.
Flash to Stone - B
평 - P.I.보다 나쁘지만 P.I.를 쓸 일이 없을 때나 10-1에서 오우거를 죽일 때 쓸만하다.
효과 - 석화광선을 내뿜는다. 팀이 빵빵하거나 다음 스테이지로 넘어가기 전 레벨업을 하며
주술이 없을 땐 쓸만하다. 가고일과 오우거를 제외한 모든 적은 이 마법으로 죽으면
아무것도 주지 않는다.
LV 7
Earth Quake - B
평 - MILES(2P클레릭)전용 마법. 공중에 떠있는 적이나 점프중인 적에게는 안 통하지만
클레릭에게 유일한, 쓸만한 공격마법이라는데 의의를 둔다.
효과 - 지진을 일으킨다. 당연한 예기겠지만 공중에 있는 적은 통하지 않는다.
Holly Word - D
평 - Greldon(1P클레릭)전용 마법. 보스전에서 쓰면 거의 대부분 보스를 제외한 대상만 맞는다.
위력은 파이어볼 정도. 하지만 언데드에게는 탁월한 효과. 타겟이 엉뚱한데 조준된다는 점에서
별 가치가 없는 마법. 나그파나 텔아린, 디스플레이서 비스트는 맞으니 이 녀석들 에게나 쓰자.
효과 - 빛의 장벽이 타겟을 포위한다. 항상 몇몇 보스를 제외한 모든 보스전에서 일반몹만 적중된다.
Reverse Gravity - B
평 - 매직유저의 고레벨 마법치곤 판정이 좋지 않다. 날고 있는 적은 맞지도 않는다.
단 위력이 세다는데 위안을 둘 뿐이다.
효과 - 술자주변의 중력장을 거꾸로 해서 적을 공중으로 날린 후 효과를 중지 시킨다.
그럼 당연히 적들은 지면으로 추락. 고레벨의 마법답게 파워가 좋다.
당연히 나는 적은 통하지 않는다. 이를 테면 맨티코어는 나는 동안 이 마법을 맞지 않지만
땅에 착지해 있거나 다운상태에서는 맞는다.
LV 9
Meteor Swarm - A
평 - SYOUS(1P매직유저)의 최고마법인 만큼 위력도 쎄다.좋은 마법. 판정도 좋다.
리치가 쓰는 그것과 달라서, 전 화면 골고루 맞게 되어있다.
단 위저드리 스텝(Staff of Wizardry)을 착용한 채 사용하지 말것.
속성이 상쇄되어 매직미사일정도의 위력밖에 나오지 않는다.
그리고 이 마법의 속성은 불(火) 이 아니다.
효과 - 공중으로부터 운석을 소환시켜 떨어뜨린다. 운석에 맞은 적은 체력이 엄청나게 줄어든다.
Power Word Kill - A
평 - D'raven(2P매직유저)의 최고마법. 한방치고 효과가 뛰어나게 좋다. 연출은 SYOUS의 메테오보다
못하지만 효과는 그에 못지않다. 역시 좋은 마법. 후반부에 마법사의 한풀이(?)하기 좋다.
효과 - 폴리몰프 아더와 비슷한 폼을 취한다. 하지만 상당히 다른 효과.
상자와 함정이 대해서
TOD에서는 상자를 여는 방법은 부수기와 열기뿐이었지만 SOM에서는 들기가 추가되었다.
전과 마찬가지로 상자를 앞에서 연다면 열쇠가 필요할 경우가 있지만 함정이 천천히 발동하기에
여유있게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부수기 역시 전과 마찬가지로 부술 수 있는 상자를
열쇠 없이 여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부술 수 있는 상자는 나무로 된 상자들 뿐이고
곧바로 함정이 발동되어 피하기가 좀 힘들다.
새로 생긴 들기는 열쇠 필요없이 부숴지지 않는 상자를 열수도 있지만 열리는 것은 확률에 따라
결정되고 함정도 곧바로 발동되어 피하기는 더더욱 힘든 경우도 생긴다.
그러니 일단 상자가 보이면 부술 수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고,
함정이 발동하는지 하지 않는지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부술 수 없는 상자는 들어보는 것이다.
그 후 최후의 방법으로 여는 것이 상자를 여는 순서라 하겠다.
상자의 함정종류
가스 : 상자 주위에 가스가 퍼진다. 플레이어가 가스에 닿으면 극히 미량의 HP감소와 함께
콜록거린다. (무방비상태가 된다는 소리) 그리고 이 함정의 특징은 반드시 상자주위에
스켈fp톤 3마리가 등장한다. 이 함정은 들면 반드시 걸린다.
낙석 : 상자 주위에 바위가 떨어진다. 바위에 닿으면 데미지. 바위의 공격력은 상당히 높다. 바위가 떨어지는 범위는 상자를 중심으로 좌우로 펼쳐지는데 위나 아래로 피하면
별 무리없이 피할 수 있다. 단 좌우로 피하기는 상당히 힘들다.
화살 : 상자를 중심으로 대각4방향으로 화살이 발사된다. 상자를 연 사람보다 주위의 동료들이
더 많이 당하는 함정. 상자를 들어서 여는 경우 이 함정은 피할 수 없다.
불꽃 : 상자의 주위에 불꽃이 퍼지는 함정. 발동이 느려서 무서운 함정은 아니다.
불꽃 자체의 데미지도 적고 범위도 좁다. 지속시간은 긴 편이지만 그 뿐..
상자를 들어서 열어도 피할 수 있다.
석화 : 상자의 좌우측 한 방향으로 석화광성이 뻗어나가는 함정. 트랩 발동 후 광선이 뻗기까지는
약간의 시간이 있지만 석화광선의 속도가 빨라서 미리 예측하지 않으면 피하기 힘들다.
석화광선이 뻗어나가는 원형구에 닿아도 석화되니 주의.
석화광선 자체의 데미지도 높고 석화까지 되니 극악.
당연한 얘기겠지만 석화가되면 몇초간의 시간 경과후 바로 죽는다.
그러나 익숙해지면 거의 맞을 일이 없는 함정. 상자를 들어도 이 함정에는 걸리지 않는다.
아이템 백과 사전
아이템은 크게 나누어 다음 네 가지 그룹이 있다.
1. 먹자마자 효과를 발휘하는 타입
2. 주은 뒤에 아이템 링 커맨드 내에서 아이템 목록에 포함되는 타입
3. 입수하면 점수(Exp)가 올라가는 타입
4.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나오는 장비품 목록에 장비되는 아이템
모든 아이템들은 해당 아이템이 가득 찾을 경우 2000Exp의 점수가 올라간다.
이를 테면 에너지가 꽉찬 상태에서 힐링포션을 먹는다던지,
화살이 꽉찬 상태에서 화살을 먹는다던지, 라이트닝 로드가 장비된 상황에서
라이트닝 로드를 다시 집는다는 것 등을 말하는 것이다.
장비되는 타입은 같은 곳에 장비되는 아이템일 경우 현재 장비품과 새로 얻은 장비품이 교체되고
전의 장비품은 버린다. 장비품의 경우 반지와 로드류는 손에, 방패류는 팔목에,
머리에는 투구, 모자, 머리띠 류가, 발에는 부츠류가 장비된다.
또한 아이템 목록에 장비되는 타입은 아이템란이 꽉찼을 경우 현재 사용타켓에 잡혀있는 아이템이
무한대 사용 아이템이거나(활,슬링) 버릴 수 없는 무기(기본무기)일 경우 아이템을 집지 못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는 타켓의 아이템을 버리고 새 아이템을 집는다.
이 점을 이용하면 플레이어끼리 아이템을 교환할 수도 있다.
♦ 무기류
플레임 소드 (Sword of Flame)
이름처럼 불을 뿜어내는 검이다. 적이 불이 붙어 넘어지기 때문에 위력이 약하고
연타가 불가능 하지만, 가고일이나 비홀더,프로스트 사라만다와 대적 시 상당히 유용한 검이다.
비홀더 스테이지와 프로스트 사라만다 (Frost Saramader)스테이지에서 입수가능.
이검으로 연타를 쉽게 하려면 화면 맨 위로 올라가서 적을 치면된다. A,A→+AA→+A↓↘→+A↓↑+A...
아이스 소드 (Sword of Frost)
마법검중에서 가장 유용한 마법검으로 적을 얼린다.
따라서 얼린 적에게 추가 연타가가능하므로 상당히 괜찮다.
특히 불의 속성을 가진 보스 캐릭터인 플레임 사라만다 (Flame Saramander) 에게 엄청난 대미지를
입힐 수 있다. 플레임 사라만다 스테이지에서 입수가능
스톰 블레이드 (Storm Blade)
번개의 속성을 가진 마법검이다. 이 검을 맞으면 적은 모두 넘어지며 연타 불가.
마법검 중 가장 쓸일이 없으며 가고일이나 에저홀덴을 패는 정도에나 쓸만하다.
비홀더 스테이지와 9스테이지에서 B70층 방에서 입수가능
저주받은 검 1 (Curse Sword 1)
옛날 암흑 지룡을 쓰러뜨린 용자가 사용했다고 전해지는 성검.
그러나 지금은 저주받은 검이 되어 사용자를 죽음으로 이끈다고 한다.
그 검을 휘두를 때마다 사용자는 번개에 감전되는 듯한 충격을 받으며,
그 검의 진정한 주인이 되려면 그 충격을 견뎌내어 검으로부터 인정을 받아야 한다고 한다.
9스테이지에서 입수가능 하다. 이 검은 사용자가 25번의 데미지를 입으면 풀리는 것으로
저주가 풀리면 전설의 검(A Legendary Sword)이 된다.
전설의 검 (A Legendary Sword)
왠만한 실력이 아니면 원코인으로 얻는다는 건 정말 힘들다. 그 실력이라 함은 빽점프를 뛴 후
땅에 닿자마자 칼을 휘두르는 것. 하지만 정말 타이밍 맞추기가 힘들다.
하지만 다른 방법으로는, 스트라이킹, C.S.W, C.C.W를 사용하는 것으로
저주의 검1의 저주를 받을 때(데미지를 입기 전)를 잘 보면 사용자가 휘두른 후
사용자가 목을 뒤로 젖히고 잠시 후에 몸에 전기가 흐르면서 HP가 줄어든다.
이때 전류가 흐르기 직전, 그러니까 에너지가 달기 직전에 누군가가 저주를 받은 자에게
스트라이킹, C.C.W., C.S.W를 써준다면 저주받은 자는 해당마법을 받는 포즈를 취한다.
그럼 저주가 무효가 되고 해당마법을 받게 된다.
이를 이용한다면 C.S.W, C.C.W를 몇 개 안 쓰고도 저주를 푸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S.W링과 I.N링도 통하니 해당 반지도 팔거나 버리지 말고 모으길 바란다.
전설의 검은 막강 파워를 지닌 검으로 써본 사람만이 그 위력을 알 수 있다.
가고일에게도 통하지만 에저홀덴(유령보스)에게 아군이 잡혔을 때(먹혔을 때) 사용하면
도리어 아군이 엄청난 타격을 입으니 주의하자.
저주받은 검 2 (Curse Sword 2)
누군가가 걸어놓은 저주 때문인지 검 자신의 애고가 낳은 모습인지
저주받은 검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검.
그 저주를 풀 수 있는 자는 신의 사도라고 불리우는 성직에 종사하는 자들 뿐이라고 한다.
휘두를 때마다 일정확률로 장비자를 마비시킨다. (데미지는 없다)
홀리 어벤져 (Holy Avenger)
저주받은검2를 성직자가 10번 집으면 저주가 풀리며 홀리 어벤져라는 멋진 성검이 나온다.
통상 공격에도 일반 이상의 공격력을 보이며 언데드 계열의 적을 일격에 소멸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특히 언데드계열의 보스인 리치에게 스트라이킹을 걸고 쓴다면
절대적인 파괴력을 가진다. 쓰기에 따라서는 게임 끝까지 쓸 수 있는 검.
겉으로 보기에도 아주 멋지다. 비홀더 스테이지에서 입수가능.
드래곤 슬레이어 (Dragon Slayer)
레드 드래곤의 뿔을 전사계열이 상점의 주인에게 주면 드래곤 슬레이어로 만들어준다.
용과 싸울 때 그 절대적인 위력이 나타난다. 보통 때에도 충분히 위력이 있다.
바스타드 스워드 (Bastard Sword)
길이가 보통의 검 (Normal Sword) 보다 길고 두꺼워서 파워와 길이면에서 앞선다.
검을 장비할 수 있는 직업이라면 하나씩 가지고 있으면 좋을 듯. 상점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비용은 1500S로 결코 저렴하지는 않다. 레드드래곤과 대결직전에도 얻을 수 있고,
10-1에서 발판 4군대를 밟아야 열리는 방안의 가장 아래 상자를 전사계열이 열면 나온다.
투 핸디드 스워드 (Two Handed Sword)
10-2의 불기둥사이의 상자를 전사가 열면 나온다. 양손으로 잡아야 하며 방패의 사용이 불가능 하다.
게다가 앉아서 타격을 할 수 없으며, 휘두르는 시간이 느리지만 엄청난 길이와 파괴력은
과연 대단하다. 가격이 6000S나 하지만 그래도 전사라면 한번 꼭 써보시길 추천한다.
검중에 가장 길고 큰 검으로 오직 전사만이 장비 가능하다.
노멀 소드 (Normal Sword)
전사와 도적의 초기 장비품으로 레벨 1-4가 있다. 후에 쓸모가 없어져 버리고 싶지만 그럴수도 없다.
스테이지2의 비밀방에서 아래쪽의 나무상자를 엘프가 열면 나오며, 텔아린에게 훔칠 수도 있다.
숏 소드 (Short Sword)
엘프의 초기 장비품으로 레벨 1-4 가 있다. 전사가 사용하면 노멀소드와 함께 이도류가 가능하다.
역시 나중에 가면 한번도 쓸 일이 없다. 오울베어를 죽이면 가끔 나온다.
모닝 스타 (Morning Star)
성직자의 최고의 무기로 성직자만의 특수 공격을 할 수 있다. 엄청난 리치를 가진 무기.
위력도 대단한편이다. 가격은 투 핸디드 스워드보다 더 비싼 8000S이다.
10-1의 발판 4군데를 누르면 들어 갈 수 있는 방의 가장 하단 상자에서 나온다.
핸드 액스 (Hand Axe)
드워프의 초기 장비품으로 레벨 1-4가 있다.
스테이지2 비밀방의 아래 나무상자를 파이터가 열면 나오며, 엘프는 초기에 이것을 장비할 것을
권한다. 파이터는 써봤자 노멀소드 보다 약하지만 엘프는 그래도 좀 나은 편이기 때문이다.
배틀 액스 (Battle Axe)
'투핸드 스워드'와 비슷한 무기로 양손을 사용해야 쓸 수 있다.
역시 방어가 되지 않고 앉아서 휘두르기도 불가능하다. 전사와 드워프가 장비 가능하다.
10-1의 발판 4군데를 누르면 들어 갈 수 있는 방의 가장 하단 상자를 드워프가 열면 나온다.
메이스 (Mace)
클레릭의 초기 장비품으로 역시 레벨 1-4가 있다.
워 해머 (War Hammer)
이 해머에 맞으면 높은 확률로 적이 기절한다. 위력도 상당하고 리치도 좋다.
단점으로는 한 대 칠 때마다 딜레이가 생긴다는 점으로 다수의 적을 상대하기엔 불리하다.
가끔 보스가 한방에 죽어버리는 크리티컬 버그(?)도 나온다.
놈의 상점에서 2500sp에 구입이 가능하고 10-2의 불기둥 사이의 상자를 클레릭이 열면 나온다.
스트라이킹 스태프 (Staff of Striking)
마법사의 초기 장비품. 공격력이 높은 지팡이로
검, 도끼, 메이스의 레벨 2에 해당하는 공격력을 갖는다.
하지만 역시 나중엔 하도 쟁쟁한 스태프들이 많이 나오니 짐만 될 뿐이다.
원드 오브 콜드 (Wand of Cold)
공격시에 땅을 타고 얼음이 나가는 지팡이. 위력은 약한 편이며 20회 사용하면 없어진다.
마법사는 처음에 콜드와 화이어 두 가지를 가진다.
놈의 마을에서 구입이 가능하고 아이스 블레이드상자를 매직유저가 열면 이것이 나온다.
원드 오브 화이어 볼 (Wand of Fire Ball)
공격과 동시에 불구슬을 쏘는 지팡이. 위력은 약하고 역시 20회 사용하면 없어진다.
놈의 마을에서 구입가능 하며 '플레임 블레이드' 상자를 매직유저가 열면 나온다.
원드 오브 라이트닝 볼트 (Wand of Lightning Bolt)
공격과 동시에 번개가 나간다. 역시 20회 사용가능. 비홀더 스테이지에서 '스톰 블레이드'가 나오는
상자를 매직유저가 열면 이것이 나온다. 놈의 마을에서 구입가능하며 유령보스에게 효과적이다.
윈드 오브 패러라이즈 (Wand of Paralyzee)
이 지팡이에 닿는 적은 몸이 마비가 되며, 연타공격으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단 보스에게는 통하지 않고 역시 20회 쓰면 없어진다.
위저드리 스태프 (Staff of Wizardry)
스태프중 최강의 스태프이다. 이 스태프를 가진 매직유저는 마력이 거의 2배 가까이 증가한다.
또한 이 스태프를 소지 해야만 '파이날 스트라이크'를 쓸 수 있다.
10-2의 불기둥 사이의 상자를 매직유저가 열어야 나온다.
엘리멘탈 스태프 (Staff of Elemental Power)
9스테이지 B70층 상자를 매직유저가 열면 나온다. 정령소환류의 마법을 강하게 해준다.
매지컬 스태프 (Staff of MAgical power)
10-1의 발판4개 방의 아래 상자를 매직유저가 열면 나오고. 드래곤의 뿔을 가공해도 나온다.
역시 마력을 증가시키지만 '위저드리 스태프'정도는 아니다. 그리고 난투계에 약하다.
스태프 오브 스네이크 (Staff of Snake)
클레릭 전용으로 적이 스태프에 얻어맞으면 뱀이 달라붙는다. 메이스보다 약간 위력이 센 편.
♦ 아이템류
링 오브 파이어 레지스턴스 (Ring of Fire Resistance)
이걸 끼고 있으면 불에 의한 대미지를 전혀 입지 않는다.
따라서 '헬 하운드'의 공격 등은 전혀 통하지 않는다.
링 오브 큐어 시리우스 운즈(C.S.W) (Ring of C.S.W)
클레릭의 마법 '큐어 시리어스 운즈'랑 같은 효과를 내며
놈(Gnome) 의 마을에서 구입이 가능하다. 가격은 1000S이고 가장 유용한 반지이다.
링 오브 라이트닝 볼트 (Ring of Lightning Bolt)
라이트닝 볼트 마법과 동일한 효과가 있으며 사용자의 마법력에 따라 위력이 달라진다.
이를 테면 클레릭이 쓴 것과 파이터가 쓴 것 과는 위력이 다르다. 놈의 마을에서 500sp에 살수 있다.
링 오브 화이어 볼 (Ring of Fire Ball)
파이어볼 마법이 나가는 반지이다. 거리가 짧으며 위력도 약하다.
하지만 매직유저가 없을 경우 이것이라도 모으지 않으면 안 된다. 놈의 마을에서 400sp에 살수 있다.
링 오브 매직 미사일 (Ring of Magic Missile)
반지에서 매직미사일 한 발이 나간다. 이런 반지는 모아다가 파는 것이 이익이다.
돈도 꽤 주므로 보이면 주워서 상점에서 팔자.
링 오브 컨티뉴얼 라이트 (Ring of Continual Light)
컨티뉴얼 라이트 마법과 똑같은 효과. 본래 이 마법 자체가 쓸데없으니 역시 보이면 주어다 팔자.
놈의 마을에서 500sp에 구입이 가능하나 살 필요는 없다.
링 오브 폴리몰프 아더 (Ring of Polymorth Other)
어쩌다가 가끔 얻을 수 있다. 가고일은 한방에 죽지만 오우거는 죽지 않는다.
매직유저가 없을 경우 써보는 것도 좋을 듯. 그러나 있으면 두말없이 판다.
링 오브 인비시빌리티 (Ring of Invisivility)
매직유저의 '인비시빌리티'와 같은 효과. 초반에 나오면 모을 가치가 있다.
하지만 '저주받은 검 1'의 저주를 푼 후에는 두말없이 팔 것.
링 오브 프로텍션 (Ring of Protection)
자신의 방어력을 올려주는 것으로 그런대로 쓸만하다. 이 아이템은 장비되는 것이다.
링 오브 스펠터닝 (Ring of Spell turning)
일정확률 랜덤 회수로 상대의 마법을 무력화 한다.
하지만 적이 본격적으로 마법을 쓰는 적이라고 해봐야 리치(데이모스)와 새도우엘프(텔아린)밖에
없으므로 큰 효율성이 없다. 역시 장비되는 아이템이지만 '프로텍션'이나 '레지스트 파이어'같은
쟁쟁한 반지들로 인해 천대받는 받지.
아무것도 착용하지 않았을 경우 아쉬운 대로 착용 하는 아이템이라고 볼 수 있다.
링 오브 홀리네스 (Ring of Holyness)
프로텍션 프롬 이블의 힘이 깃든, 말 그대로 '항마력'을 높여주는 반지.
클레릭이 상자를 열었을 때 간간히 나온다.
이 반지를 장비하고 있으면 에저홀덴의 펀치공격이나 다크워리어2의 원거리 공격은 당하지 않는다.
이프리트의 항아리 (Bottle of Efreeti)
이것을 쓰면 이프리트가 나타나 전체 공격 마법을 쓴다. 화면전체 불속성 공격이며
때문에 불에 내성을 가지고 있는 적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한 명당 한개만 가질 수 있다.
D.S
바람의 진 디지니를 소환하며 전체공격 마법효과를 지닌다. 역시 한 명당 한개만 가질 수 있다.
키 (Key)
보물상자를 열 때 쓰인다.
스크롤 (Scroll)
마법의 사용회수를 회복시켜 준다.
청색으로 갈수록 레벨이 낮은 것이고 적색으로 갈수록 레벨이 높은 것이다.
단검 (Dagger)
나가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한꺼번에 9개를 모두 던지면 그런대로 괜찮다.
하지만 스피드에 비해 위력이 떨어진다.
네클리스 (Necklace)
마법방어력을 올려 준다. 장비되는 아이템
오브 (Orb)
마비, 석화를 당하지 않는다. 장비되는 아이템
이어링 (Earring)
마법 공격력을 올려준다. 장비되는 아이템
로드 오브 화이어 (Rod of Fire)
불 계열의 마법 공격력을 올려준다. 장비되는 아이템
로드 오브 콜드 (Rod of Cold)
얼음 계열의 마법 공격력을 올려준다. 장비되는 아이템
로드 오브 라이트닝 볼트 (Rod of Lightning Bolt)
번개 계열의 마법 공격력을 올려준다. 장비되는 아이템.
팔찌 (Bracelet)
장비한 자의 완력을 높여주는 팔찌.
장비한 캐릭터의 물리 공격에 관련된 일체의 공격력을 높여준다.
엉클렛 (Anklet)
발찌. 캐릭터별 특수공격. 밀어내는 발차기나 서머솔트나 몸통 박치기 등의 공격력을 올린다.
하지만 차기공격력이면 날리기 공격1도트짜리이기 때문에 장비해봤자 2도트.
브로치 (Brooch)
장착캐릭터의 운과 약간의 카리스마를 증가시킨다. 이를테면 적을 죽이면 더 좋은 아이템이
나온다던지 고레벨의 매직문서가 나온다던지 라는 식으로 운이 늘어나며
루트선택 시 우선권이 주어지는 카리스마가 증가된다.
실버 대거 (Silver Dagger)
단검보다 약간 위력이 센 '은 단검', 언데드 계열 보스와 가고일에게 유효하다.
애로우 (Arrow)
화살, 나가는 속도가 그런대로 빠른 편. 위력은 약하다.
실버 애로우 (Silver Arrow)
화살보다 약간 강하다. 역시 언데드 계열과 보스에게 유용하다.
프레임 애로우 (Flame Arrow)
화살+오일정도의 공격력이다. D&D2 초(超)레어아이템.
오일 (Burning Oil)
다운공격용. 위력은 보통이지만 '워 머신'에게는 쓸만하다.
라지버닝(LB) 오일 (Large Burning oil)
최강의 다운 공격용 무기. 9개를 전부 한꺼번에 던지면 그 위력이야말로 어마어마하다.
이 아이템을 잘 쓰면 넘어지는 모든 보스에게 유효하다.
해머 (Hammer)
괜찮은 도구. 날아다니는 적에게 효과적이고 이것에 맞은 적은 기절확률이 매우 높다.
공중에서 맞으면 거의 2배의 효과가 난다.
주시자의 눈 (Eyes of beholder)
비홀더를 치거나 '픽 포켓'하면 얻을 수 있는 물건. 상점에 가지고 가면 '부유 신발'을 만들어 준다.
디스플레이서 비스트의 가죽 (Skin of Displacer beast)
디스플레서를 패거나 '픽 포켓'하면 얻을 수 있다.
상점에 가지고 가면 디스플레이서 외투로 만들어 준다.
맨티코어의 가죽 (Skin of Manticore)
맨티코어를 패거나 '픽 포켓'하면 얻는다. 상점에서 게임진행에 관련된 정보를 들을 수 있다.
드래곤의 비늘 (Scale of Dragon)
아직 다 성장하지 않은 스몰 드래곤의 피부. 드래곤의 피부는 불꽃에 강한 내성을 갖고 있어
드래곤의 브래스를 막아주는 방패를 만드는 재료가 된다고 한다.
블랙드래곤과 싸우다 보면 얻을 수 있다.
레드 드래곤의 뿔 (Horn of Dragon)
판타지 세계 최강의 생물이라고 불리는 레드 드래곤의 뿔. 그 뿔은 신비한 힘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
이 뿔로 드래곤 슬레이어나 스텝 오브 매지컬 파워, 스텝 오브 스네이크를 만들 수 있다.
레드 드래곤과 싸우다 보면 드롭된다.
부츠 오브 레비테드 (Boots of Levitate)
백 스텝으로 공중 부유가능. 비홀더의 눈을 교환하여 얻은 것은 오래 쓸 수 있지만
사라만다 스테이지에서 나오는 것은 그 스테이지에서 밖에 사용할 수 없다.
부츠 오브 스피드 (Boots of Speed)
장비자의 속도가 1.5배정도 빨라진다. 일정회수 대미지를 받으면 부숴 진다.
트래블링 & 리빙부츠 (S&S)
시프의 기본 장비품이다. 삼각, 2단 점프를 가능하게 해준다.
아무리 대미지를 받아도 부서지지 않으며, 다른 부츠와 겹쳐서 장비가 가능하다.
건틀렛 (Gauntlets of Ogre power)
장비자의 공격력을 1.5배 증가시킨다. 역시 일정횟수 대미지를 입으면 부숴 진다.
디스플레이서 외투 (Displacer of Cloak)
Cloak 즉, 소매 없는 외투로 이 아이템은 장비자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허상을 만들어 낸다.
게임상에서는 장거리 무기인 활, 돌 등에 대한 공격을 무효화 시킨다. 장비되는 아이템이다.
디스플레이서의 눈 (Eyes of D.beast)
디스플레이서를 패거나 '픽 포켓'하면 얻는 장비아이템. 던젼의 숨겨진 방을 발견하기 쉽게 해준다.
알 (Egg of Wonder)
던지면 몬스터(아울베어)가 한 마리 나와 적과 싸운다.
에그 오브 오울베어 (Egg of Owlbear)
시프가 아울베어을 픽 포켓하면 가끔씩 나오는 것으로 상점에서 Egg of W로 바꿔준다.
바뀌기 전까지는 장비되는 아이템이다.
포션 오브 헤이스트 (Potion of Haste)
헤이스트의 효과가 있는 물약.
포션 오브 블레스 (Potion of Bless)
블레스의 효과가 있는 물약
붉은색 물약 (Potion of Dominution)
놈의 마을에서 파는 물약으로 이 약을 먹으면 캐릭터의 키가 작아지게 된다.
놈의 마을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필수!
포션 오브 힐링 (Potion of Healing)
HP를 어느 정도 회복가능하며 보통은 상점에서 초기에 구입가능하다. 던전에서도 구할 수 있다.
포션 오브 슈퍼힐링 (Potion of Super Healing)
HP를 대량 회복한다. 후반부에 상점에서 구입가능 하다. 역시 던전에서도 구할 수 있다.
메달 (Medal)
상점에서 공짜로 물건 한 개를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메달은 놈의 마을에서는 통용되지 않기에
실제 사용되는 것은 포션 살 때 정도. 있으면 좋고 없으면 그만인 아이템.
♦ 점수획득 아이템
마노 (Agate:瑪瑙) : 10 Exp 조그만 치즈빛깔의 보석.
루비 (Ruby) : 5000 Exp 붉은 사각형.
석류석 (Garnet) : 100 Exp 붉은 수정 빛.
호박 (Amber) : 100 Exp 주황색 수정 빛.
다이아몬드 (Diamond) : 10000 Exp 무색의 물방울 모양.
사파이어 (Aqua Marine) : 1000 Exp 파란색 사각형.
오팔 (Opal) : 1000 Exp 황색구슬모양.
에메랄드(Emerald) : 5000 Exp 녹색의 수정모양.
석영 (Onyx) : 50 Exp 투명한 수정모양.
책 (Book) : 1000 Exp ~ 4000 Exp 팔레트 버그로 이상한 색깔이 될 때도 있다.
그러나 효과는 없고 전부 점수일 뿐이다.
향수 (Perfume) : 녹색 물병처럼 생겼다. 5000 Exp
조각상 (Sculpture) : 2500 Exp
♦ 방어구
노멀 실드 (Normal Shield)
초기부터 가지고 있는 방패다. 물리적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스몰 실드 (Small Shield)
엘프의 초기 장착 방패이다. 물리적인 공격 방어 가능.
플레임 실드 (Flame Shield)
불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단 마법에 의한 공격, 브레스등은 방어가 불가능하며
방어를 오래 할 경우 가드가 풀리는 현상도 나온다.
오일공격도 방어할 수 있으며 '헬 하운드'의 불을 뿜는 공격 역시 방어 가능하다.
꼭 장비할 것을 권한다. 헬하운드를 도적이 터는 것이 가장 얻기 쉽다. 장비되는 아이템.
아이스 실드 (Ice Shield)
얼음 공격을 방어할 수 있다. 이게임에서 얼음 공격을 하는 적은 '프로스트 사라만다' 정도이니
거의 쓸데가 없다. 리치를 죽이면 가끔 나오며 프로스트 사라만다 스테이지에서 얻을 수 있다.
프로텍티드 프롬 에빌 실드 (Protected from evil Shield)
은색을 띤 성스러운 방패로 사악한 힘으로부터 착용자를 지켜준다.
신성계의 방패로 암흑계 공격을 가드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라이트닝 볼트와 석화광선에 대한 내성이 증가된다.
드래곤 실드 (Dragon Shield)
드래곤의 브레스를 방어한다. 단 방어를 오래하면 가드가 풀리는 현상이 나온다.
하지만 '헬 하운드'등의 화염계 공격은 가드불가능이다.
블랙드래곤의 비닐을 얻은 후 상점에서 가공하면 만들 수 있으며 드래곤 브레스에 내성이 생긴다.
단 전체브레스 시엔 사망한다.
헬멧 (Helmet)
파이터, 드워프의 방어구.(이지만 아무나 장비 가능) 방어력을 2올려준다.
서클렛 (Circlet)
엘프의 머리 방어구. 방어력을 2올려준다.
후드 (Hood)
시프의 머리 방어구. 방어력을 3올려준다.
사제의 모자 (Cleric's Hat)
클레릭의 머리 방어구. 방어력을 3올려준다.
마법사의 삼각모 (Magical Hat)
매직유저의 머리 방어구. 방어력을 2올려준다.
티아라 (Tiara)
엘프의 머리 방어구로 설정되어 있지만 누구나 장비 가능하다.
하지만 엘프가 있어야만 얻을 수 있으며 방어력을 5 올려준다.
등장 몬스터들과 상대법
개요
D&D2는 전작에 비해 많은 몬스터들이 생겼다. 이에 몬스터들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그 몬스터 상대법에 대해 설명한다.
몬스터 이름 옆에 항은 시프가 강탈을 시도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물품.
몬스터 일람
고블린(Goblin) <10~1000XP보석, 단검 던지는 고블린=단검, 은단검>
서양에서 도깨비 취급을 받는 몬스터로 어원은 그리스 신화의 코발로스(Cobalos).
키는 인간보다 작고 추한 얼굴이다. 회화능력정도의 지능은 가지고 있으며 인간과 거의 같은 무기를
사용한다. 이게임의 가장 하급몬스터 중 하나 300 Exp
코볼트(Kobold) <단검>
인간보다 작으며 개와 비슷한 얼굴을 하고 있다. 역시 회화능력정도의 지능을 가지고 있으며
고블린과 마찬가지로 어원은 그리스어의 코발로스. 이 게임중의 가장 하급몬스터 중 하나 200 Exp
스켈fp톤(Skeleton)
너무나 유명한 캐릭터. 남자 인간의 뼈가 악의 힘에 의해 조정되는 것으로 클레릭의 턴언데드로
악한 힘과의 결속을 끊을 수 있다. 언데드 계열의 몬스터로 살아 있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킬 같은 마법은 먹히지 않는다. (숨을 쉬지 않기 때문)
가장 쉬운 하급몬스터. 붉은색과 보라색의 두 가지 옷을 입은 스켈레톤이 존재하나 둘 다 600 Exp
자이안트 비틀(Giant Beetle)
비틀은 투구풍뎅이를 가르키는 것으로 이 게임에서는 날아다니면서 공격해온다.
앉아 있으면 안심이다. 100 Exp
자이안트 스콜피언(Giant Scorpion)
전갈의 거대판 이라지만 이 게임에서는 그리 크지 않다.
앉아서 때리면 100%맞는다. 귀찮은 존재일 뿐이다. 100 Exp
아울베어(Owl bear) <10XP, 아울베어의 알>
아울은 올빼미, 베어는 곰 즉 올빼미와 곰을 합쳐놓은 몬스터로
악의 마법사가 선한 것을 파괴하기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긴 발톱공격과 몸으로 덥치는 공격을 시도 해온다. 중급 몬스터 중 상대하기 쉬운 몬스터. 800 Exp
놀(Gnoll) < 액스 놀(Axe Gnoll) : 배틀 액스 (Battle Axe)>
하이에나 같은 머리를 가진 몬스터로 몸 색깔이나 습성이 하이에나와 비슷하다.
힘은 고블린보다 세지만 오우거나 트롤정도는 못된다. 이 게임에서는 보우 놀(Bow Gnoll)과
엑스 놀(Axe Gnoll)이 등장하며 상대하기 쉬운 중급 몬스터 이다.
Bow Gnoll 500 Exp, Axe Gnoll 600 Exp
혈거인(Troglodyte) <오브, 앙클렛>
본래는 야수의 모습이나, 이 녀석은 도마뱀처럼 생겼다.
삼지창을 들고 다니며 오일이 든 주머니를 던지는데 점프 공격과 가스 공격을 조심하면
상대하기 쉬운 중급 몬스터. 죽이면 때때로 마법문서를 주니 반드시 잡자. 1200 Exp
헬 하운드(Hellhound)
지옥을 지키는 파수꾼이지만 이 게임에서는 아무데서나 등장한다.
불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모든 불의 공격에 피해를 입지 않는다.
입으로 물어 뜯는 공격과 불을 뿜는 공격, 또 대쉬 공격이 가능하다. 이중 가장 위협적인 것은
대쉬공격으로 중급 몬스터 중 가장 상대하기 까다로운 캐릭터. 1200 Exp
섀도우 엘프(Shadow Elf) <5XP, 서클렛>
엘프의 한 종족이지만 상당히 다르다. 검푸른 피부에 하얀 머리카락이 특징이며 악을 추종한다.
지능은 당연히 좋으며 이 게임에서 귀찮은 존재로 하피 스테이지에서 지원 마법사격은
그야 말로 짜증난다. 활, 창, 마법, 칼을 이용해 공격해오며 남성과 여성 새도우 엘프들이
총공격해온다. 1000 Exp
굴(Ghoul) <10XP, 오브>
좀비와 헛갈리는 캐릭터로 좀비와 비슷하다. 사자의 고기를 먹고 사는 언데드 몬스터로
손톱에 독이 있어 잘못하면 몸이 일시 마비가 된다. 중급 언데드 몬스터로 죽이면 마법문서를 주니
홀리 어벤저가 있으면 죽이고 가는 것도 나쁘지 않다. 10 Exp
가고일(Gargoyle) <이어링>
마치 조각상 같은 캐릭터로 타켓이 접근 하면 움직이기 시작한다. 마법이나 마법무기, 은제무기로만
피해를 입으며 그 외의 무기는 맞지 않는다. 처리하면 아이템과 마법문서를 대량 드롭하니
가능한 없애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오우거 (Ogre) <녹색=티아라, 반지등, 파란색=헬멧, 건틀렛>
휴머노이드 타입의 최강의 식인 몬스터. 인간보다 몸집이 크며 회화능력정도의 지능을 소유하고 있다.
곤봉정도의 무기를 능숙하게 쓰며 힘이 무척 세다. 상급 몬스터로 전작에 비해 굉장히 파워 업.
와이번(Wyvern)
드래곤과 비슷하나 앞발이 없다. 드래곤의 아류이고 브레스는 뿜지 않는다.
지능이 낮아 회화능력이 없으며, 이 게임에서는 텔아린의 교통수단으로 쓰이기도 한다.
스테이지 4의 비행선에서 여자 섀도우 엘프가 타고 마법을 난사하는데
매직미사일로 공격해 보면 섀도우엘프 에너지가 아닌, 와이번의 에너지가 나온다.
맨티코어(Manticore) <원더에그>
사자의 몸, 인간의 얼굴, 전갈의 꼬리를 달고 있으며 날개가 있어 날수 있다.
이 게임에서는 꼬리가 변형되어 가시가 달린 몽둥이 모양이다. 공격형태는 꼬리에서 가시를 내뿜거나
꼬리에 의한 공격 (꼬리를 휘두르는 형식) 발톱 공격과 대쉬 공격, 압박공격 등이다.
회화정도는 할 수 있는 지능이 있는 것 같다. 로도스 도 전기에서는 마법까지 쓰기도 한다.
상급 몬스터중에서 상대하기 쉬운 편이다.
D비스트(Displacer beast)
자신의 대칭위치에 허상을 만들어 내는 마수. 허상과 실체의 구별은 그림자를 보면 된다.
공격 중 주의할 것은 물기와 등에 있는 촉수공격이다. 등에 있는 촉수 공격은 정면에 있지 않는 한
거의 맞을 일이 없지만 물기 공격은 조금 성가시다.
일순간 헛점을 노려 물리면 대미지도 크고 공격의 타이밍도 끊어진다. 머리 쪽에선 치지 말 것.
스콜피언맨(Scorpion Man) <스펠터닝반지>
전갈과 인간을 조합 시킨 형 상반신은 인간 하반신은 전갈이다.
낫을 날리는 공격과 꼬리에 의한 공격, 대쉬 공격을 해온다.
약간 까다로운 캐릭터이지만 상대법만 익숙해지면 손쉬운 몬스터
사라만다(Salamander) <책>
사라만다는 자유의지를 가진 마법적인 존재로 원소계에서 왔다.
원소계에서는 흔히 볼 수 있지만 다른 곳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두 가지 종류 모두 거대한 도마뱀처럼 생겼으며 불꽃의 사라만다는 불의 원소계에서,
얼음의 사라만다는 땅의 원소계에서 왔다.
이 두 종류는 서로 적대적인 관계로 마주치기만 하면 싸우려 든다.
텔아린(Tel'Arin) <노말소드>
텔 에레론의 형으로써 현재 '나그파'에 의해 조종당하고 있다. 거의 TOD의 자이드같은 존재.
리치(Lich)
과거 마법사나 승려가 악의 힘에 의해 시체로 살아 돌아온 것으로 이 게임에서는 데이모스가
리치가 되어 돌아왔다. 생전에 마법사였던 이유로 리치는 마법을 사용하며
아군의 LV3이하의 마법은 효과가 없고, 리치와 접촉하게 되면 마비의 피해를 입을 확률이 크다.
은제무기가 효과가 있으며 '홀리 어벤저'에 '스트라이킹'을 걸면 절대적인 파워가 나온다.
다크워리어(DarkWarrior) <1=건틀렛, 브레슬렛, 2=모닝스타>
이 세계의 몬스터로 여기서는 4대 몬스터중 하나다.
다크워리어2의 경우 검을 들고 나오며 1은 전격공격을 하지만 2는 암흑구로 공격한다.
에저홀덴(Ezerhorden)
유령, 떠다니기 때문에 매우 짜증나는 보스다.
전격공격에 약점이 있으며 공격 자체 속성은 암흑에 해당한다.
하피(Harpy)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된 이 몬스터는 상반신은 여성 하반신은 독수리이다.
곤봉을 휘두르며 발톱에 의한 공격과 대쉬공격, 또 발톱으로 아군을 집어 올려 떨어뜨리는
공격을 한다. 까다로운 상급 몬스터.
키메라(Chimera) <뱀지팡이>
염소, 사자, 드래곤의 세 가지 머리를 가지고 있고 꼬리는 뱀이다.
용의 머리로 불길을 내뿜으며 그 외는 맨티코어와 동일하다.
L.B오일 덕분에 큰 힘을 들이지 않고 깰 수 있는 캐릭터
비홀더(Beholder)
주시자라는 뜻으로 '모든 것을 아는 자'라는 뜻도 있다. 비홀더는 모든 마법을 무효화 할 수 있으며
그가 지켜보고 있는 곳에서 마법을 쓰면 그는 마법을 무효화 시킨다.
동그란 구 모양의 몸체에 큰 입과 큰 눈에 머리에는 작은 눈이 다수 달렸다.
깨물기 공격과 눈에서 나오는 특수공격, 대쉬공격을 시도한다.
마법이 통하지 않는 이유와 특수공격으로 인해 까다로운 캐릭터다.
그린 드래곤(Green Dragon)
성격은 온후하지만 악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 삼림지대에서 살며 염소 브레스를 내뿜는다.
이 게임에서 공략하기 힘든 몬스터중 하나로 꼽힌다.
블랙 드래곤(Black Dragon)
검은색 드래곤으로 성격이 난폭하며 악한 마음을 소유하고 있다.
강한 산성 브레스를 내뿜으며 습지대에서 산다. 이 녀석에게도 드래곤의 비늘을 얻을 수 있다.
레드 드래곤(Red Dragon)
붉은색 드래곤으로 성격이 난폭, 악하다. 이 녀석의 브레스는 유명한 화염의 브레스이며
엄청나게 강력하다. 전작의 경우 보스보다 강력했으며 이번 작에도 상당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죽이면 막대한 양의 보물과 경험치(700,000Exp) 드래곤 슬레이어의 칭호와
드레곤 슬레이어를 얻게 된다.
마지막 보스 SYNN도 레드드래곤이지만 경험치가 더 낮다. (500,000Exp)
중, 하급 몬스터 상대법
개요
전작에 비해 몬스터들이 상당히 집요해졌다. 이것은 이 게임의 난이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며
이것을 극복하지 못하면 D&D2의 고수가 될 수 없다.
여기서는 몬스터 공격형태를 장거리, 근접공격, 대쉬공격, 기타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고급 몬스터는 뒤에 스토리상으로 설명하겠다.
장거리 공격이 가능한 몬스터
이 계열에는 고블린, 코볼트, 보우 놀이나 새도우 엘프, 물도마뱀과 헬 하운드가 있다.
이중 헬 하운드는 나중에 설명하기로 하고 일단 고블린부터 설명하도록 한다.
고블린 - 최약의 몬스터 이면서 떼거지로 몰릴 경우 중급몬스터 보다 더 공포스럽다.
절대 거리를 두지 말 것이며 거리가 생길 경우 정면에서 덤비지 말고 일단 피했다가
대쉬 공격기로 공격한다. 대쉬공격기를 사용해 한군데로 몬 다음,
대공공격기로 한 번에 몰아 치자. 한군데로 몬다면 별 것 아니게 된다.
코볼트 - 고블린과 비슷한 공격패턴을 가지고 있지만 그래도 고블린보단 귀엽다.
멀리서 도발을 하는 등의 여유도 가지고 있으니..
고볼린보다는 상대하기 쉽다. 고블린과 비슷한 패턴으로 공략
보우 놀 - 에너지도 적으며 나와서 활만 쏘고 도망간다. 클레릭의 홀드 퍼슨이 없다면
앉아서 다 쏘기를 기다리거나 앉은 다음 슬라이딩으로 가서 잡으면 된다.
드워프는 걱정할 것 없다. 점프하지 않는 한 맞지 않는다.
혈거인 - 이 녀석은 오일주머니를 던지는 것 때문에 장거리 공격이 가능하다.
직선상에 있지 않는다면 맞지 않으니, 적이 나와 약간 위나 아래 있다면 마음놓고
앞의 적을 상대하고, 그것이 아니라면 유저가 약간 좌표이동을 해준다.
점프공격을 조심할 것.
섀도우 엘프 - 여자 새도우 엘프와 남자 새도우 엘프로 나뉘는데
여자의 경우 마법 지원 사격이나 활을 쏘고 도망간다.
마법지원사격의 경우 매직미사일 이외엔 방법이 없으며 활의 경우 보우 놀 과 같다.
남자 새도우 엘프의 경우 창을 던지고 도망가는 놈들이 위협적.
이 녀석들은 위치를 기억하는 수밖에 없는데 나오는 곳은
프로스트 사라만다 스테이지, 10-4의 배틀 로얄스테이지 등에서 나온다.
대쉬 공격이 가능한 몬스터
이 계열에는 헬하운드가 있다. 보스이외에 거의 대부분의 적은 대쉬 공격을 하지 않는다.
헬하운드 - 중급 몬스터중 최강의 몬스터 이다. 3~4마리가 몰려있으면 그야말로 공포 그 자체 이다.
정면 대결보다 약간 위나 아래에서 헛 칼질을 하다가 걸리면 잡는 것이 방법이다.
이 녀석은 구석에 몰리면 오뉴월 개 맞듯 맞으니 개 패듯 패는 것이 좋다.
대쉬 하고 다닐 땐 지나간 다음, 지나간 자리에서 헛 칼질을 하고 있으면 와서 맞아준다.
만일 오지 않고 멀리서 불을 쏘려고 하면 대쉬 공격기로 팬 다음에 개 패듯 패자.
대쉬 공격만 조심하면 별 것 아닌 몬스터
근접 공격형 캐릭터
나머지의 거의 모든 캐릭터 이다.
근접 공격형의 캐릭터의 경우 혼자 나오면 거의 문제가 되지 않으나, 문제는 다수가 나올 경우이다.
다수의 경우 일직선상에 있지만 않는다면 적의 공격에 맞지 않는다. 적과의 위치를 잘 계산해서
피해야 할 공격, 막아야 할 공격, 또 피하지 않아도 될 공격을 잘 계산하자.
그외 - 자이안트 비틀, 자이안트 스콜피언
자이안트 비틀 - 자이안트 비틀은 날아다니는 벌레로 앉아 있으면 그냥 지나간다.
단 앉아서 칼질하고 있으면 공격할 때가 가끔 있다.
자이안트 스콜피언 - 전갈로, 자기가 접근해오기를 기다려서 때려라 괜히 접근했다가
한 대라도 물리면 기분 나쁘다.
던젼 앤 드래곤즈 공략 Part 2에 계속..